Hash Chaining & loadFactor
·
📚 Data Architect/Data Structure
💡 Hash Chaining 가장 안정적이며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자료구조 중 하나이다. 파이썬의 딕셔너리도 이것을 기반으로 만들어졌으며 자바에서도 쉽게 해시를 만들 수 있게 API를 제공한다. 펄에서도 이 방법으로 연상 배열과 해시를 만든다. 해시는 사실상 배열 1개로 구성되어 있으며, 요소들이 들어가야 할 위치에 추가되면서 배열은 점점 채워진다. 그래서 배열의 위치마다 새로운 자료구조를 만들면서 수많은 데이터를 수용할 수 있도록 만드는것이다. 즉, Hash 배열의 각 요소에 자료구조인 LinkedList를 사용하며 각 요소는 테이블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. 어떤 자료구조가 가장 적합할까? 정답은 LinkedList 이다. 체인을 만들기 위해 배열의 각 위치마다 LinkedList를 만들어 주는 방법이며..